아이가 산만한 이유 4가지

아이의 모든 행동에는 이유가 있습니다. 산만한 행동도 마찬가지이고 이는 발달상 보이는 특징입니다. 만일 산만한 행동이 너무 비정상적이라면 다음의 경우를 점검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1. ADHD(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인 경우

집중력이 다른 아이의 절반 정도 수준밖에 안 되는 아이들로 전문기관의 검사 를 통해 알 수 있습니다. 집중력 검사 중, 화면에서 어떤 그림이 밑으로 내려오면 버튼을 누르는 검사가 있는데 ADHD 아이들은 제때 누르지 못합니다.

ADHD는 초등학교 1학년 때 갑자기 증상이 드러나는 예가 많습니다. 이는 입학 후 갑자기 발병하는 것이라기보다는 어렸을 때부터 이미 징후가 있었는데 초등학교라는 꽉 짜인 틀에 들어가면서 두드러지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 경우는 전문기관의 도움을 받아 치료를 해야 합니다. 어릴수록 치료가 빠르고, 예후가 좋습니다.

2. 호기심이 너무 많아 집중을 못 하는 경우

초등학교 1학년 아이들은 호기심 덩어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유치원과 다른 학교생활에 대해 무엇이든 호기심을 갖고 질문하고 만져보고 눈으로 확인하려 합니다.

또한 성향적으로도 유독 호기심이 많은 아이가 있습니다. 이런 아이는 과도한 호기심 탓에 사고와 말썽이 많습니다. 이때는 아이의 호기심부터 먼저 해결한 뒤 학교의 규칙들을 차근차근 알려주면 산만한 행동이 줄어듭니다.

3. 사회성이 떨어지는 경우

사회성이 떨어지는 아이들은 학교에서 지켜야 하는 규칙에 대해 잘 알지 못합니다. 수업시간에는 지겨워도 40분 동안 앉아 있어야 한다는 것을 몰라 수업시간에 화장실에 갔다 오고, 어떤 아이는 도서관에 가서 책을 보고 오기도 합니다.

아이들은 수업시간에 움직이면 안 된다는 것을 아는데도 불구하고 수업 시간에 일어나 돌아다니지만, 사회성이 떨어지는 아이들은 규칙을 몰라서 자기 마음대로 하는 것입니다. 사회성이 부족한 데에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습니다. 성격상의 문제일 수도 있고 부모와의 애착이 불안정해서 일수도 있습니다. 먼저 그 원인을 찾아 해결해주어야 합니다.

4. 심리적으로 불안한 경우

어른도 심리적으로 불안하면 손끝으로 책상을 탁탁 두드리거나 발을 떠는 것처럼 심리적으로 불안한 아이들은 산만한 행동을 보입니다. 아이가 왜 불안한 생활적인 면을 자세히 검토해보아야 합니다. 부모에게 충분한 사랑을 받지 못했을 때나 학교생활에 어려움이 있을 때 심리적 불안이 생길 수 있습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