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생 자녀를 둔 부모라면 누구나 한 번쯤은 아이의 집중력에 대해 고민을 하게 됩니다. 학교 수업시간에 산만하다는 이야기를 듣거나 집에서 숙제할 때 딴청을 부리기만 한다면 ‘혹시 집중력이 부족한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그러다가도 재미있는 일을 할 때면 놀라운 집중력을 보여줘서 엄마를 헷갈리게 합니다. 실제로 어떤 아이들은 공부를 곧잘 하다가 어느 순간 책만 보면 졸기도 하고, 어떤 아이들은 처음 한동안은 책상 앞에서 딴 짓만 하다가 갑자기 흥미를 보이면서 공부에 열중하기도 합니다.
집중력에 대해서 보이는 증상만 가지고 판단해서는 안됩니다. 부모 눈에는 집중을 못 하는 것으로 보일지라도 정말 집중력에 문제가 있어서 수업을 못 따라가고 공부 못하는 경우는 전체 학령기 아이들 중 5 ~7%에 불과합니다. 바로 ADHD(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이들입니다. 아이가 ADHD가 아니라면 집중력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다른 이유가 있어서 ‘산만해 보이는 것’입니다.
목차
아이가 산만해 보이는 이유는
1. 공부하고 싶은 마음이 없기 때문
공부를 하고 싶지 않으니 당연히 공부에 집중하지 않는 것입니다. 이런 아이들은 공부보다 다른 것에 관심이 많습니다. 예를 들면 운동 같은 것입니다. 운동에 관심이 많은 아이는 앉아서 하는 공부가 재미없고 의욕도 느끼지 못합니다. 그러니 자꾸 딴 생각을 하고 집중을 하지 못 하는 것입니다.
이러 때는 좋아하는 운동을 하게 해서 아이의 욕구를 채워준 다음 공부를 시키거나, 공부를 얼마만큼 하면 운동을 해주겠다는 식으로 아이가 좋아하는 것과 공부를 적절하게 조율해주어야 합니다. 그러면서 아이의 흥미를 조금씩 공부 쪽으로 옮겨주는 것이지요. 공부를 하면서 성취감을 느끼기 시작하면 아이는 그 재미에 공부에 흥미를 갖게 됩니다. 아이나 어른이나 흥미를 느낀 일에는 노력 없이도 집중하게 마련입니다. 억지로 공부를 강요하기보다 공부에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아이의 다른 욕구를 먼저 채워주세요.
2. 사회성이 떨어지기 때문
사회성과 집중력 사이에 무슨 관계가 있을까 하며 의아해하는 부모도 있지만, 사회성이 떨어지면 공부에 집중하기가 어렵습니다. 특히 수업시간에 남들처럼 공부에 집중하지 못합니다.
사회성은 넓은 의미에서 다른 사람의 처지를 이해하는 능력, 다른 사람과 같으 흐름으로 흘러가는 능력을 말합니다. 학교 수업시간에 예를 들면 선생님의 말씀을 잘 듣고, 선생님의 지시에 따라 다른 아이들처럼 공부하면서 의견을 나누는 과정이 사회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사회성이 떨어지는 아이들은 선생님의 지시를 받아들이지 못하고 자기만의 생각에 빠져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남들처럼 하기 싫어도 참고 공부하고 선생님 말씀에 집중해야 한다는 사실을 모르게 때문입니다. 이런 아이들은 남과 상관없이 자기 혼자 뭔가를 할 때는 집중력을 발휘할지 몰라도 공동의 규칙을 따라야 하는 수업시간에는 집중하지 못합니다. 이때에는 부족한 사회성을 채워줘야 합니다. 공동의 규칙을 따르고 남과 같은 흐름으로 살아가는 능력을 키워야 하지요.
3. 블안하기 때문
어른도 마음이 심란하고 불안하면 해야 할 일에 집중하지 못합니다. 아이도 마찬가지입니다. 마음이 불안하거나 해결 못한 문제가 있을 때 공부에 집중하지 못합니다. 한 예로 정신적으로 심한 충격을 받으 아이들이 초기 불안 증세가 없어진 후에도 한동안 수업시간에 집중을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합니다. 교통사고 등 심각한 사고를 당한 아이 중에는 집중력 저하가 오랫도안 지속되어 성적이 떨어지기도 하지요. 이런 아이들은 불안을 일으키는 문제가 해결되어야만 집중을 잘하게 됩니다.
4. 에너지가 많은 아이가 산만한 것처럼
체력이 좋고 돌아다니기 좋아해서 산만한 것처럼 오해를 받는 아이들이지요. 이런 아이들은 점심때가 되면 후다닥 밥을 먹고 운종장으로 뛰어나가기 바쁩니다. 오전에는 활기가 넘쳐 산만하게 굴다가, 오후 수업시간이 되면 기운이 빠져 차분해지기도 합니다. 에너지가 많은 아이는 규칙적으로 운동을 시켜 에너지를 발산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합니다. 에너지를 마음껏 발산하고 차분해지면 공부에 더 집중하게 됩니다.
5. 부모와 사이가 나쁜 경우에도 집중력에 문제를 보일 수 있습니다.
이런 아이들은 부모가 공부를 시키면 반항심리가 생겨서 수업시간에 집중하지 않습니다.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소극적인 반항 이지요. 또 다른 사람과 공부할 때는집중을 잘하면서 부모와 공부할 때 일부러 산만하게 행동하기도 합니다. 이때는 부모와 아이의 사이부터 개선하는 것이 우선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