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 감정코칭 세가지 실천 전략

우리 아이의 무슨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 너무 궁금합니다. 지금 어떤 감정을 가지고 있는지, 어떤 방향으로 이끌어야 하는지, 어떤 이야기를 해주어야 하는지 이런 고민을 가지고 계신 부모님들이 많을 것입니다. 저 또한 마찬가지니까요. 우리 아이의 감정을 잘 이끌어야 밝고 건강한 아이로 키울 수 있습니다. 감정 코칭을 잘하기 위해서는 세가지 전략이 중요합니다.

전략1. 제대로 꾸중하기

슬퍼하는 아이에게 손을 내미는 어른

아이들도 자기가 혼날 짓을 해서 꾸중을 들었다고 인정할 수 있으면 상처를 받지 않습니다. 문제는 꾸짖는 방법입니다. 어떻게 꾸중하느냐에 따라 아이가 부모의 의도대로 좋은 모습으로 변화할 수도 있고, 반대로 굉장히 부정적인 감정만 쌓여 관계가 나빠질 수도 있습니다. 꾸중을 하더라고 좋은 방향으로 관계를 발전시키려면 무엇보다 인격이나 성격을 건드려서는 안 됩니다.

상황에 초첨을 맞춰 꾸짖으면 문제 해결 능력이 커집니다. 그런데 아이의 인격이나 성격에 대해 초점을 두면 아이는 심한 적개심을 갖게 됩니다. 꾸중을 할 때는 먼저 상황에 대한 이야기를 한 다음, 그에 대해 부모가 느낀 기분과 부모가 바라는 것을 요청하는 순서로 말하면 됩니다. 아이가 분명히 잘못을 했을 때는 부모도 화가 날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부모가 감정을 표현하되 비난, 경멸, 조롱 등을 하지 않으면서 차분하게 ‘너’가 아닌 ‘나’의 관점에서 대화해야 합니다. 아이의 행동이 부모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이야기해주면 아이는 반감을 갖지 않고 자기 행동을 돌아보게 됩니다.

전략2. 도움이 되는 칭찬하기

엄마와 아이의 다정한 모습

칭찬도 도움이 되는 칭찬과 도움이 되지 않느 칭찬이 있습니다. 칭찬도 잘못하면 오히려 아이에게 해를 끼칠 수 있기 때문에 제대로 칭찬해야 합니다. 아이에게 도움이 되는 칭찬의 기술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번째, 성격이나 인격에 대해서는 칭찬하지 않습니다.  “우리 OO는 어쩜 이렇게 착하니”, 너는 정말 훌륭해” 같은 성격에 대한 칭찬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두번째, 결과보다는 노력이나 행동에 대해 칭찬합니다. “우리 OO가 1등 했네, 정말 잘했네.”, “OO보다 잘했구나.”, “와, 그림 정말 잘 그리는 구나. 그림대회 나가면 1등은 문제없겠다.” 이렇게 과정보다 결과에 대해 칭찬하는 것은 아이에게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그보다는 그러한 결과가 있기까지 아이가 노력한 과정이나 행동에 대해 칭한하는 것이 좋습니다. 남과 비교하는 칭찬보다는 아이 자신의 이전과 이후를 비교하여 말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그동안 보고 싶은 텔레비젼 참고 열심히 공부하더니 성적이 많이 올랐구나. 네가 정말 자랑스러워.”, “지난 번보다 20점 더 맞았구나.”, “엄마가 손님이 와서 정신이 없었는데, 동생이랑 잘 놀아줘서 고마워.” 이렇게 칭찬을 하면 아이도 부담을 느끼지 않으면서 더 잘하고 싶은 마음이 들게 됩니다.

세번째, 적절한 타이밍에 맞춰 칭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억은 대개 상황 속에서 감정화 함께 저장이 되는데 부모가 아이에게 줄 수 있는 것은 감정적 상황에 함께 있어주는 것입니다. 아이가 칭찬받을 행동을 했을 때, 바로 칭찬을 해주면 경험과 감정을 함께 공유할 수 있습니다. 불가피하게 즉시 칭찬을 해주지 못했을 때는 하루를 넘기지 않고 칭찬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네번째, 칭찬의 이유를 구체적으로 설명해주빈다. “참 잘했어요.”, “뭐든 잘한다.”, “훌륭해.”와 같은 두리뭉실하거나 무조건적인 칭찬은 아이에게 와닿지 않을 수 있습니다. 칭찬할 때는 아이가 한 행동이나 결과에 대해 무엇에 대해 어떤 점을 잘했는지 구체적으로 말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전략3. 먼저 사과하기

사과하기 / sorry

부모도 대화를 하다가 격한 감정을 보이기도 하고, 상황을 오해해서 아이를 야단치는 실수를 저지를 수 있습니다. 아이에게 심하게 야단친 다음에 보니까 “내가 좀 심했구나”라는 생각이 들 수 있습니다. 그러면 “엄마가 아까 너에게 좀 심한 말을 한 것 같다. 다시 한 번 말해볼게.”라든지 “그런 뜻으로 애기한 건 아니었는데, 마음 아팠지?”리거 하면서 먼저 실수를 인정하고 사과해야 합니다. 부모가 먼저 실수를 인정하면 아이들은 ‘아 어른들도 실수를 하는구나. 실수를 할 때는 저렇게 고칠 수 있구나”라고 생각하면서 실수를 했을 때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배우게 됩니다.

| | | |